여름꽃 남주네 2018. 6. 13. 12:42
미역줄나무 학명: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다른이름: 메역순나무, 한삼덩굴, 노방구덩굴, 미역순나무. 과명:노박덩굴과 미역줄나무속 낙엽 활엽 덩굴성나무. 분포지:전국의 산지 높은 지대. 개화기:6~8월 결실기:9~10월 열매 형태는 시과. 원뿔모양꽃차례에 백색의 꽃이 피며 키는 2m 가량 자란다. 어린순은 식용으로 쓰이며, 식물 전체는 뇌공동(雷公藤)이라는 하며 약용한다. 여름과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달여 마시면 살충, 소염, 해독에 효능이 있다. 2009년 미국 국립보건연구원 연구 발표에 의하면 류머티스관절염에 효과가 아주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름의 유래는 줄기의 뻗침이 마치 미역의 고갱이처럼 유연하면서도 튼튼하게 생겨서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
여름꽃 남주네 2018. 6. 11. 11:32
학명:Albizia julibrissin Durazz. 과명: 콩과 자귀나무속 낙엽소교목. 분포지: 제주도, 남부, 중부지방의 산지 양지쪽.개화기: 6~8월 결실기:10월 열매 형태는 협과, 키는 3~5m 가량 자란다. 자귀나무의 껍질은 한방에서 합환피(合歡皮)라고 하고 꽃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과 함께 약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오장을 편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근심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고 있다. 민간에서는 나무껍질을 살충제, 이뇨제, 타박상치료로 쓴다.자귀나무라는 이름은 '자는데 귀신 같은 나무' 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낮에는 잎을 펴고 밤에는 미모사처럼 잎을 닫는 습성이 있어 나무가 밤에는 잠을 잔다고 비유되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이러한 특성 때문에 부부간의 화목..
여름꽃 남주네 2017. 11. 25. 12:33
애기송이풀 학명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다른이름: 천마송이풀.과명: 현삼과 송이풀속.분포지: 경기도 가평, 연천, 강원도 횡성, 충북 제천, 경주, 거제도 일대.개화기: 5~6월 결실기: 10월, 열매 형태는 삭과.키는 10~15cm가량 자라며 여러해살이풀이다.한국특산식물이며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속명 Pedicularis는 라틴어 pediculus에서 유래하며 이 속의 풀들을 먹고 자라는 가축들에 이가 많다는 것에서 유래한다.종소명 ishidoyana는 일본의 식물학자 이시도야 츠토무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촬영지:경기도.
여름꽃 남주네 2017. 11. 25. 12:31
금강초롱꽃학명: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과명:초롱꽃과 금강초롱꽃속.분포지:강원도와 경기도 지역의 높은 산. 개화기:8~9월 결실기: 10월이다.키는 30~90cm 가량 자라며 여러해살이풀이다.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특산식물이다.이름의 유래는 꽃모양이 불을 켜는 초롱을 닮아 초롱꽃, 금강산에서 처음으로 채집하여 금강이 더해져 금강초롱꽃이라 불리운다.이 식물의 속명 Hanabusaya는 일제 강점기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이 1911년 금강초롱꽃을 새로운 속으로 명명하면서 자신에게 조선식물 연구를 제안한 초대 조선 일본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의 이름을 속명으로 등재한 것이다.종소명 asiatica는 아시아 지역에서 자란다는 의미이다.이렇게 일제 강점기에 일본학자들에 명명된..
여름꽃 남주네 2017. 11. 25. 12:28
닻꽃 학명:Halenia corniculata (L.) Cornaz 다른이름: 닷꽃, 닻꽃용담, 닻꽃풀.과명: 용담과 닻꽃속 분포지: 한국(경기도,강원도 높은산),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 개화기:7~8월 결실기:9~10월 열매 형태는 삭과. 키는10cm에서 60cm 가량 자라며 한해나 두해살이풀이다. 풀전체를 화묘(花錨)라 하며 해독, 해열, 지혈 등의 치료제로 쓰인다. 이름의 유래는 꽃의 모양이 배의 닻을 닮았다여 닻꽃이라 불리운다.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 되어 관리되는 보호식물이다. 식물학자 린네에 의해 1753년 쓴풀속에 속하는 종(Swertia corniculata L.)으로 처음 발표 했으며 1897년에는 스위스 식물학자 코르나즈(Cornaz,C.A.E.)에 의해 닻꽃속에 속하는 ..
여름꽃 남주네 2017. 6. 2. 11:50
백작약 학명 : Paeonia japonnica(Makino) Miyabe & Takeda 과명: 작약과 작약속. 분포지: 전국의 산지, 일본. 개화기:5~6월 결실기: 9~10월 열매형태는 골돌과. 키는 40~50cm 가량자라며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이다. 국가적색목록 위협종이며 무분별한 채취로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뿌리는 백작약(白芍藥)이라는 한방명을 가지고 약재로 쓰인다. 백작약을 옛날에는 꽃 모양이 함지박처럼 크다하여 함박꽃이라 불렀다. 잎은 3~4개가 어긋나며 3개씩 두번 갈라진다. 작은 잎은 긴타원형이거나 거꿀달걀 모양이고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뒷면에 털이 난 것을 털백작약이라 하고 잎 뒷면에 털이 있고 꽃자루가 길며 꽃이 붉은 것을 산작약이..
여름꽃 남주네 2013. 1. 23. 15:13
새박 학명: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ex Cogn. 과명:박과 새박속 덩굴풀. 분포지:제주도와 전남,북 일부 산지의 습한 곳. 개화기:7~8월 결실기: 9월. 키는 40~50cm 가량 자라며 한해살이풀이다. 새박이란 이름은 열매가 새알같이 생긴 박이라 하여 붙여졌다. 점점 보기가 힘들어지는 식물이다. 촬영지:전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