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꽃 남주네 2018. 6. 18. 15:31
산수국 학명 :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 다른이름: 털수국, 털산수육. 과명:범의귀과 수국속 낙엽 활엽 교목. 분포지:중부 이남 지방의 산골짜기나 계곡. 개화기:6~8월 결실기:9~10월 열매 형태는 삭과이며 키는 1m 가량 자란다. 산수국은 산(山)에서 자라고, 물(水)을 좋아하며, 국화꽃(菊)처럼 풍성하다고해서 이름 붙여졌다. 수국의 종류를 총칭하는 속명 하이드란지아(Hydrangea)는 물이라는 뜻의 하이드로(hydro)와 용기, 즉 그릇이라는 뜻의 안게이온(angeion)이라는 글자가 합쳐진 합성어이다. 이 속의 식물들이 많은 수분을 흡수하고 증산한다는데서 유래되었다는데, 일설에 의하면 이 식물들이 물가에서 많이 자라..
여름꽃 남주네 2018. 6. 13. 15:02
참골무꽃 학명: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다른이름: 흰참골무꽃, 큰골무꽃, 민골무꽃. 과명: 꿀풀과 골무꽃속. 분포지: 제주도와 울릉도를 포함한 전국의 바닷가 모래땅. 개화기: 6~8월 결실기: 10월 열매 형태는 분과. 식용,약용(전체). 밀원용 식물이며 여러해살이풀. 키는 20~40cm 가량 자란다. 이름의 유래는 종자를 감싸면서 성숙한 꽃받침통 (위쪽 사진의 꽃아래 보이는 통)의 모양이 바느질 할 때 쓰이는 골무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참이란 접두어는 진짜라는 의미이다. 속명인 Scutellaria는 라틴어로 작은 접시라는 뜻의 Scutellla에서 유래한 것이다. 촬영지:김제 심포.
여름꽃 남주네 2018. 6. 13. 14:52
도라지 학명: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DC.과명:초롱꽃과 도라지속.분포지:전국의 산과 들.개화기:7~8월 결실기:9~10월 열매는 삭과. 키는 40~100cm 가량 자라며 여러해살이풀. 도라지류를 총칭하는 속명은 Platycodon이라고 하는데 이는 넓다라는 뜻을 가진 그리이스어 phbs와 종이라는 뜻을 가진 codon이라는 글자가 만나 생겨난 것이다. 그러고 보면 도라지 꽃이 다른 초롱꽃과 식물들처럼 종 모양을 하면서도 넓게 많이 벌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자르면 흰유액이 흘러나오는 줄기에는 잎이 네장 씩 돌려난다. 누구나 잘 알고 있지만 도라지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식용식물이다. 도라지는 한방에서 질경이라 부르며 민간에서도 널리 이용해온 약초이다. 오래된 도라지 ..
여름꽃 남주네 2018. 6. 13. 14:34
참좁쌀풀 학명: Lysimachia coreana Nakai. 다른이름: 참좁쌀까치수염, 고려까치수염, 참까치수염. 과명: 앵초과 까치수염속. 분포지: 중부 이북 지방의 깊은 산 산기슭이나 풀숲. 개화기: 6~8월 결실기: 10월 열매 형태는 삭과. 키는 50~100cm정도 자라며 여러해살이풀이다. 참좁쌀풀의 전초(全草)의 생약명은 만도배(蠻刀背)라 한다. 고혈압, 불면증, 설사, 위염, 위궤양, 인후염과 치질에 약효가 있다. 한국 특산식물이며 점점 개체수가 줄어드는 보기가 힘들어진 식물이다. 좁쌀풀이란 이름은 주렁주렁 매달린 꽃과 열매가 좁쌀처럼 보인다는데서 유래한다. 속명의 Lysimachia는 마케도니아의 왕 Lysimachus의 이름에서 유래 되었고, 종명의 coreana는 한국특산식물로 채집지가..
여름꽃 남주네 2018. 6. 13. 13:58
꽃산수국 학명: Hydrangea serrata for. buergeri Nakai. 과명:범의귀과 수국속 낙엽 활엽 교목. 분포지:중부 이남 지방의 산골짜기나 습한 곳. 개화기:6~8월 결실기:9~10월 열매는 삭과. 키는 1m 가량 자란다. 산수국은 산(山)에서 자라고, 물(水)을 좋아하며, 국화꽃(菊)처럼 풍성하다고해서 이름 붙여졌다. 수국의 종류를 총칭하는 속명 하이드란지아(Hydrangea)는 물이라는 뜻의 하이드로(hydro)와 용기, 즉 그릇이라는 뜻의 안게이온(angeion)이라는 글자가 합쳐진 합성어이다. 이 속의 식물들이 많은 수분을 흡수하고 증산한다는데서 유래되었다는데 산수국이 물가에서 많이 자라고 또 열매의 모양이 그릇과 같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산수국 꽃의 구조는 특이한 형태를..
여름꽃 남주네 2018. 6. 13. 13:45
갈퀴나물 학명: Vicia amoena Fisch. ex DC. 다른이름:말굴레풀,갈키나물,녹두두미,갈퀴덩굴. 과명:콩과 나비나물속. 분포지:전국의 산이나 들녘 길가 풀밭. 개화기:6~9월 결실기:9월 열매 형태는 협과. 줄기는 80~180cm 가량 뻗어나며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땅속줄기가 뻗으면서 번식하며 어린순은 식용으로 한다. 줄기와 잎은 산야완두( 山野豌豆)라는 생약명으로 풍습을 제거하고 통증을 줄여주며 류머치스나 근육의 통증을 줄여주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갈퀴나물이란 이름은 덩굴손이 갈퀴같이 다른 식물을 걸듯 감아서 자라는 습성에서 유래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등말굴레풀, 말너물이라 하는데 탁엽이 말의 목을 감싼 말갈퀴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 다른 이름으로는 녹두두미, 야두간이..
여름꽃 남주네 2018. 6. 13. 13:30
돌가시나무 학명: Rosa wichuraiana Crep. ex Franch. & Sav. 다른이름:반들가시나무, 대도가시나무, 붉은돌가시나무. 과명:장미과 장미속 반상록 포복성 관목. 분포지:남부지방의 산기슭 양지 바른 곳. 개화기:6~7월 결실기:9~10월 열매는 가을에 붉게 익는다.키는 2~3m 가량 옆으로 자란다. 이름의 유래는 바위나 돌무더기가 많은 곳에 자라면서 줄기에 가시가 많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속명 Rosa의 어원은 장미의 라틴어 고어이며 wichuraiana는 채집자 이름이다. 촬영지:고성산
여름꽃 남주네 2018. 6. 13. 13:23
예덕나무 학명: Mallotus japonicus (L.f.) Müll.Arg. 다른이름: 예닥나무, 비닥나무, 시닥나무, 꽤잎나무. 과명:대극과 예덕나무속 낙엽 소교목. 분포지:남부 지방의 산기슭이나 바닷가. 개화기:6월 결실기:10월 열매 형태는 삭과.암수딴그루에 꽃이 핀다(사진은 수꽃이다). 예덕나무라는 이름은 예절과 덕성을 모두 갖춘 나무라는 뜻이다. 또한 나무모양이 오동나무를 닮아 야오동(野梧桐), 야동(野桐)이라 부르며, 봄철에 돋아나는 새순이 붉은 빛깔이 나기 때문에 적아백(赤芽柏), 잎이 크고 넓어 밥이나 떡을 싸기에 좋다고해 채성엽(採盛葉)이라 부른다. 특히 뜨거운 밥을 예덕나무 잎에 싸면 예덕나무의 향기가 밥에 배어 일본에서는 예덕나무 잎으로 밥이나 떡을 싸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예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