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꽃 남주네 2017. 10. 23. 15:52
금방망이학명:Senecio nemorensis L.다른이름:산쑥방망이, 대륙방망이.과명:국화과 금방이속.분포지:서해 도서지역과 제주도.개화기:8~10월 결실기:9~10월 열매 형태는 수과.키는 40~100cm 가량 자라며 여러해살이풀.풀전체는 황안(黃緞)이라는 생약명을 가지고 있다.열을 내리게 하는 작용을 하며 장염, 이질, 설사 등을 다스리며 간염에도 쓰인다. 그 밖에 안질에도 좋고 악성종기를 가라앉히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이름의 유래는 꽃이 솜방망이를 닮았고 꽃색이 선황색으로 금빛을 띤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촬영지:영흥도.
가을꽃 남주네 2017. 10. 23. 15:50
해국학명:Aster sphathulifolius Maxim.다른이름:왕해국, 흰해국.과명:국화과 참취속.분포지: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바닷가.개화기:7~11월 결실기:11월 열매 형태는 수과.키는 30~60cm 가량 자라며 반목본성 여러해살이풀.민간에서는 해국의 어린 잎은 식용하며, 풀전체를 이뇨제, 보익제, 해수, 방광염 등의 약으로 사용한다.경희대에서 성분을 조사한 자료에서는 해국이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바닷가에서 피는 국화과 식물이라하여 해국이라 부른다.촬영지:삼척시 장호리. 흰해국 / 촬영지: 영흥도
가을꽃 남주네 2017. 10. 23. 15:44
물매화학명:Parnassia palustris L.다름이름:물매화풀, 풀매화(북한명).과명:범의귀과 물매화속.분포지:전국의 산지 습한 곳. 한국, 중국, 일본, 몽고, 북아메리카, 유럽 등지에 분포.개화기:8~9월 결실기:9~10월 열매 형태는 삭과.키는 5~45cm가량 자라며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풀 전체를 매화초(梅花草)라 하며 약용식물이다.황달성 간염, 세균성이질, 백일해, 우후종통, 맥관염, 창옹종독 등에 처방한다.물매화란 이름은 물가에 자라며 꽃이 매화를 닮았다는 뜻이다.속명 Parnassia는 그리스 Parnassus 산의 이름에서 유래하며,고대 의학자 Dioscorides가 약초에 사용한 Parnassus 산의 식물이후대 식물학자에 의해서 물매화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종소명..
여름꽃 남주네 2017. 6. 2. 11:50
백작약 학명 : Paeonia japonnica(Makino) Miyabe & Takeda 과명: 작약과 작약속. 분포지: 전국의 산지, 일본. 개화기:5~6월 결실기: 9~10월 열매형태는 골돌과. 키는 40~50cm 가량자라며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이다. 국가적색목록 위협종이며 무분별한 채취로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뿌리는 백작약(白芍藥)이라는 한방명을 가지고 약재로 쓰인다. 백작약을 옛날에는 꽃 모양이 함지박처럼 크다하여 함박꽃이라 불렀다. 잎은 3~4개가 어긋나며 3개씩 두번 갈라진다. 작은 잎은 긴타원형이거나 거꿀달걀 모양이고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뒷면에 털이 난 것을 털백작약이라 하고 잎 뒷면에 털이 있고 꽃자루가 길며 꽃이 붉은 것을 산작약이..
여름꽃 남주네 2013. 1. 23. 15:13
새박 학명: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ex Cogn. 과명:박과 새박속 덩굴풀. 분포지:제주도와 전남,북 일부 산지의 습한 곳. 개화기:7~8월 결실기: 9월. 키는 40~50cm 가량 자라며 한해살이풀이다. 새박이란 이름은 열매가 새알같이 생긴 박이라 하여 붙여졌다. 점점 보기가 힘들어지는 식물이다. 촬영지:전남.
봄꽃 남주네 2009. 5. 25. 23:25
연영초(연령초) 학명: Trillium kamtschaticum Pall. ex Pursh. 다른이름: 연령초. 왕삿갓나물, 큰꽃삿갓나물. 과명: 백합과 (Liliaceae) 연영초속. 분포지: 전국의 높은 산. 러시아, 중국, 일본 등 주로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개화기:5~6월 결실기: 7~월 열매 형태는 장과. 키는 20~40cm 가량 자라며 여러해살이풀이다.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이며 전초를 한방에서 위장약으로 쓰인다. 깊은산이 아니면 보기 힘들어지는 식물이다. 연영초(延齡草)라는 이름은 1949년 정태현 외 2인의 조선식물명집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이름은 중국명 延齡草를 그대로 차용한 것인데 이를 연영초로 잘못 읽고 표기한 것이다. 그러다가 1980년 이창복의 대한식물도감에 어법에 맞게 연령초(..
식물이야기 남주네 2009. 5. 21. 15:47
2017년 12월 현재 멸종위기 식물목록멸종위기종 1급광릉요강꽃 Cypripedium japonicum금자란 Gastrochilus fuscopunctatus나도풍란 Sedirea japonica만년콩 Euchresta japonica비자란 Thrixspermum japonicum 암매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죽백란 Cymbidium lancifolium털복주머니란 Cypripedium guttatum풍란 Neofinetia falcata한라솜다리 Leontopodium hallaisanense한란 Cymbidium kanran 멸종위기종 2급가는동자꽃 Lychnis kiusiana 가시연 Euryale ferox가시오갈피나무 Eleutherococcus senticos..
봄꽃 남주네 2009. 5. 20. 19:48
노랑무늬붓꽃 학명: Iris odaesanensis. Y.Lee. 다른이름: 흰노랑붓꽃. 연미. 조선연미. 과명: 붓꽃과(Iridaceae) 붓꽃속. 분포지: 강원도, 경상도 지방의 깊은 산. 개화기: 5~6월 결실기: 7월 열매 형태는 삭과. 키는 20cm 가량 자라며 여러해살이풀이다. 멸종위기식물이며 한국 특산식물이다. 오대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여 오대산붓꽃이란 별명이 있고 흰노랑붓꽃이라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붓꽃류는 동일한 약효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져 함께 한방에서 쓰이고 있다. 붓꽃류의 종자는 통틀어서 마린자라고 하며 황달, 이질, 지혈작용(코피, 자궁수축)에 처방하고, 꽃은 마린화라 하여 인후염, 토혈이나 코피를 멈추고 이뇨작용이 있다고 하며, 뿌리인 마린근은 청혈, 해독..